• 최종편집 2020-08-26(월)

공슈TV "대기업 취업의 장단점과 공무원의 장단점"

대기업의 장점은 높은 연봉, 공무원은 안정적인 사회생활

댓글 0
  • 카카오스토리
  • 네이버밴드
  • 페이스북
  • 트위터
  • 구글플러스
기사입력 : 2020.01.30 10:00
  • 프린터
  • 이메일
  • 스크랩
  • 글자크게
  • 글자작게


[유튜브 페이퍼] 윤지애 기자 = 유튜버 <공슈TV>가 대기업에 취업했을 때의 장단점과 공무원에 취업했을 때에 장단점에 대해 이야기 영상을 올렸다.


공무원.jpg


대기업 생활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것이 장점이고, 공무원은 가늘고 길게 갈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.



대기업의 장점은 높은 연봉, 하지만 성과 위주의 경쟁으로 편할 날이 없어

 

대기업에 취업했을 때 가장 큰 장점은 일반 회사보다 높은 수준의 급여를 받는 것이다. 또 자신의 열정을 불태울 수 있고, 진취적인 마인드를 배우기에 좋다. 함께 일하는 동료들의 능력도 뛰어난 편이고, 다들 스펙도 좋아 업무 능력을 쌓는데 큰 도움이 된다.

 

반대로 단점으로는 성과와 실적을 꾸준히 내지 않으면 승진이 되지 않고, 월급에도 영향을 미친다. 특히 대기업에 입사할 때는 능력 있는 상사를 잘 만나야 한다. 그래야 인사고과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, 금전적 보상도 얻을 수 있다. 만일 그렇지 못한 경우 회사 생활은 상당히 힘들어진다.

 

대기업 생활은 업무가 바쁘다. 주 52시간 도입으로 업무 상황이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이 제도를 지키기에는 버겁다. 관리자 위치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인생을 회사에 올인 할 정도로 일을 중요시 여기는 사람들이고, 일반 사원들 또한 관리자에게 잘 보여야만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.


대기업을 다니는 것이 일반 회사를 다니는 것보다는 확실히 돈을 잘 벌고, 주변에서 보기에도 능력 있어 보인다. 하지만 미래에 대한 비전은 그리 밝지 않다고 본다. 아무리 노력을 해도 임원을 달 확률은 1%도 되지 않는 데다 40대가 되면 퇴직을 염두 해야 한다. 그나마 다행인 건 높은 연봉을 받은 덕분에 모은 돈으로 자영업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.

 

 

공무원의 장점은 안정적이고, 경쟁이 치열하지 않다는 것

 

공무원에 취업했을 때 가장 큰 장점은 실적 위주가 아닌 관리 위주라는 점이다. 어떤 부서에서 일을 하더라도 민원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현 상황을 유지하면 된다. 퇴근도 제시간에 하고, 복지도 괜찮은 편이다. 10년에 한두 번 정도는 해외로 연수 갈 기회도 생긴다.

 

공무원은 치열한 경쟁으로 생존하는 시스템이 아니다 보니 상대적으로 스트레스가 덜 한 편이다. 예를 들어 일반 회사에서 상사와 마찰이 생기면 사회생활 자체가 고달파지지만, 공무원은 인사발령 제도가 있어서 몇 년 안돼 다른 부서로 이동하므로 싫은 사람을 계속해서 보지 않아도 된다. 큰 문제만 일으키지 않으면 정년이 보장되며, 매년 꾸준히 인상되는 기본급과 호봉, 승진 체제도 마음을 편하게 한다.

 

하지만 공무원은 큰 단점이 있다. 급여가 적고, 성과급도 없다. 설령 성과를 낸다 하더라도 경력 많은 상사들에게 돌아갈 뿐, 그에 대한 보상이 없다. 그래서 공무원들은 변화하는 것을 두려워하고, 현상 유지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. 일을 더 해봤자 이득 보는 게 없으니 업무 자체가 방어적이다. 그래서 세상 물정을 잘 모르는 편이고, 퇴직을 하고서도 자생력을 갖추기가 어렵다. 사기 맞기 가장 좋은 대상이 바로 공무원이라는 말이 그래서 나온 것이다.

 

끝으로 <공슈TV>는 "개인적으로 대기업과 공무원 둘 중 하나를 고르라고 한다면 공무원을 고를 것이다. 공무원이 비록 급여가 적긴 해도 가늘고 길게 가는 것이 마음이 편하기 때문이다."라며 의견을 밝혔다.

 


이에 네티즌들은


[ 소곤소곤 ]  펙트 : 젊을 땐 대기업, 나이 들어선 공무원 대기업과 공무원이 갈리는 시점은 50대에서 크게 갈림  대기업의 경우 50대에 승진 못하면 치킨을 튀기고 있는 경우가 50프로 정도 됨.


[ Kim Teddy ]  대기업이든 공무원이든 무엇보다 함께 일하는 사람이 더 중요.


[ ws j ]  대기업+대기업 결혼 vs 공무원+공무원 결혼 = 두 쌍 퇴직 후  넘사벽의 노후생활.


[ Mr.양 ]  뭘 바라지를 말자 기업이든 공무원이든 그게 최고임 실제로 회사 다닐 때도 뭐 안 바랬고 공무원도 바라면 괜히 힘만 듦.. 그냥 그러려니 해야지.


[ qwerty159 K ]  공무원만 해본 나는 대기업 선택 할 듯.. 워라벨 1도 없다면 차라리 대기업.


[ 정상원 ]  대기업 20년, 공무원 30년 한 거 보다 총금액 더 많이 번다. 닭 튀길 수 있는 기회도 없는 공무원.


[ 초짜프로(82년생 KPGA도전기) ]  저는 지난주 LG전자 퇴사하고 새로운 도전 준비 중입니다. 공감도 가고 살짝 다른 것도 있는 것 같네요.~ 영상 잘 보고 갑니다.~^^


[ 김수호 ]  9급 vs 대기업은 밸런스 붕괴죠.. 연봉차이가 너무 심합니다. 1티어 대기업들은 배 이상 차이나죠.


[ KTP ]  20대 후반 현직 공무원인데, 10년 정도 대기업 근무하다가 40즈음에 5급 경채로 공직에 올 수 있으면 더할 나위 없이 좋다고 봄. 공무원은 사회 초년생 때 월급이 너무 적음. 돈을 모으기 힘듦..


[ 해리포터 ]  대기업! 이십대라.. 나이 들면 아마 생각이 바뀌겠죠?


[ Yong Dragon ]  자신이 좀 성실한 편이고 돈 욕심도 없고 경쟁이 싫고 좀 편하게 살자는 공무원하고 열정적이며 치열하고 경쟁을 즐기고 돈 욕심이 좀 있으면 대기업..


[ 오늘만참는다 ]  본인 성격에 따라 도전하면 될 듯.. 영상에도 나왔다시피 진취적이고 도전 좋아하면 대기업에 도전하면 되는 것이고, 도전 보다는 현상유지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면 공무원에 도전하는 것이고.. 본인 성격은 본인이 가장 잘 알테니 깐.. 공무원 하면서 답답해하는 사람들은 힘들게 공무원 됐어도 때려 치던데..


[ 고성악발이 ]  대기업도 회사 나름이고.. 같은 회사 안에서도 부서마다 다르고 공무원도 직종 나름이고.. 같이 일하는 인간들이 젤 중요. ㅋㅋ


[ MIN-HYUP KANG ]  공무원만 바라보는 이 나라.. 진심 걱정 된다.


[ 꼬부기 ]  대기업이든 공무원이든 어느 조직에 있던 지간에 구성원들을 잘못 만나면 좋고 나쁘고를 떠나서 때려 치고 싶어짐.


[ 김한량 ]  잘생긴 공슈형~ 의원면직하고 지금은 개인사업 하는 거야?? 어느 업종에서 종사하는 건지 알려줄 수 있어?


[ ENG윌서코기 ]  행정 복지센터 신규자인데 공무원 칼퇴.. 민원대도 6시 20분에 퇴근합니다. 의외로 칼퇴 많지 않아요..


[ 어벤져스재미없어 ]  대기업, 9급 공무원이 되고서 댓글 달어.ㅋㅋ 9급 공무원이 누구 집 동생 이름이냐? 공부도 못하는 똥 멍청이들이 대기업, 9급 공무원 좋다고 하는 것 보면 한심하네..~ 난 대기업 다니고 때려 치고 공무원 이직한 사람이야..


[ juhee han ]  저도 대기업보다는 공무원이 좋은 것 같아요.~ 일 하면서 보람도 느낄 수 있고.. 공슈 님 저번에 여수 가셨던 곳 숙박 어디서 하셨는지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? 거기 경치 너무 좋은 것 같아요.~ 저도 올 가을에 여수가려고 하거든요.ㅎㅎ


[ PATEK ]  대기업이 더 낫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선 대기업의 단점이 너무 부각되어 있다고 봅니다. 주 52시간 근무가 대기업에서 더 칼처럼 지키고 꼰대 문화 없는 잘 풀린 케이스도 많습니다.


[ 박박상준 ]  저는.. 그냥.. 실적 압박 없고 구조조정 이런 거 없는 공무원이 더 좋다고 생각해요.. 르노 삼성자동차 400명 감원에서 다시 900명으로 확대 되었다는 기사 떴네요.


[ 미스터봉쿠레 ]  중견기업 재직 중이고 연봉은 세전 4700입니다. 진급도 걱정이고 미래가 걱정되어 회사 다니면서 9급 공무원 준비 해보려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.?


[ jk lee ]  복지는 별도로 논한다고 하면 지금 지방직은 완전 여초 세상입니다. 젊은 남직원은 그냥 호구에요. 40 넘어서 고참이어도 기피업무 담당하고 행사 때마다 책걸상 나르고 싶으면 공직으로 오세요.


등의 댓글이 달렸다. 위 영상은 아래 URL로 들어가면 볼 수 있다.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axLWp_PRF4k


BEST 뉴스

전체댓글 0

  • 97742
비밀번호 :
메일보내기닫기
기사제목
공슈TV "대기업 취업의 장단점과 공무원의 장단점"
보내는 분 이메일
받는 분 이메일